본문 바로가기
설계편람/설계공차

기하공차의 종류와 도면제도 시 형상별 기입 방법

by TechTier 2025. 1. 24.

기계 부품의 설계제도 시 기하공차를 선택하고 부여하는 방법을 정리하고, 기하공차의 필요성과 데이텀의 정의,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의 설명, 마지막으로 도면에 기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기하공차란? 부품형상을 구성하는 점, 선, 면, 축선 등이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형상으로 기준이 되고 이를 한정된 일정 영역으로 표시한 것을 "공차역"이라고 함.

 

 

목차 ( 아래 제목 클릭 시 글 위치로 이동 )

 

 


“치수공차와 기하공차는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

 

치수공차와 기하공차의 차이

 

위 그림과 같이 사각 블록의 부품에 대하여 두께치수의 보통공차를 평행도 공차로 잘 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경력이 오래되어도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실수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일반 치수공차와 기하공차는 엄연히 다른 공차 표기법이라는 것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하공차의 필요성

기하공차 도시 참고 도면

 

기계 부품을 제작하거나 조립할 때, 정밀한 제작과 정확한 조립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치수공차, 끼워맞춤과 함께 모양, 자세, 위치, 흔들림 등에 대하여 정밀도를 지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하공차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균일화와 표준화된 기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이한 검사를 위한 목적이 있으며 모든 치수에 적용하는 치수공차와는 다르게 기하학적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분에만 적용합니다.

 

또, 부품 간의 작동 및 호환성이 중요할 때, 제품 제작과 검사의 일관성을 두기 위해 참조 기준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이 됩니다.

-  "목차로 되돌아가기"  -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

 

하기 그림의 기하공차 기입에 따른 사용예에 대한 설명으로
데이텀(기준이 되는 면 또는 선)을 기준으로 평행도가 0.02mm 이내의 공차역을 가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기하공차의 기입 방법

-  "목차로 되돌아가기"  -

 

 


데이텀의 설명 및 도시 방법

관련 형체에 기하공차를 규제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기준점, 기준선, 기준 평면 등이고 이 데이텀을 바탕으로 물체의 위치나 형상에 관한 여러 가지 형체가 정립됩니다.

기하공차의 데이텀 기입 방법

-  "목차로 되돌아가기"  -

 

 


기하공차의 종류별 설명

 

 

“ 직진도 ”
표시된 직선을 평면에 투상 되었을 때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의 영역

 

“ 평면도 ”
표시된 평면이 투상되었을 때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의 영역

 

“ 진원도 ”
평면 내에서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

 

“ 원통도 ”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축 원통면 사이의 영역

 

“ 선의 윤곽도 ”
곡선의 중심으로 지름 t의 원이 만드는 두 개의 곡선 사이의 영역

 

“ 면의 윤곽도 ”
곡면의 중심으로 지름 t의 구가 만드는 두 개의 곡면 사이의 영역

 

“ 평행도 ”
한 평면에 투상되었을 때 데이텀에 평행하여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의 영역

 

“ 직각도 ”
한 평면에 투상되었을 때 데이텀에 수직으로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의 영역

 

“ 경사도 ”
한 평면에 투상되었을 때 데이텀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의 영역

 

“ 위치도 ”
기준면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를 중심으로 지름 t의 원 또는 구의 내측 영역

 

“ 동축도(동심도) ”
원통의 직경을 나타내는 경우 데이텀 축선과 일치한 축선을 갖는 지름 t인 원통 내측의 영역

 

“ 대칭도 ”
데이텀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투상 되어 서로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의 영역

 

“ 원주흔들림 ”
데이텀 축에 수직 한 임의의 측정 면에서 데이텀과 일치하는 중심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

 

“ 온흔들림 ”
데이텀 축과 일치하는 축선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축 원통 사이의 영역

-  "목차로 되돌아가기"  -

 

 

 

 

글을 마치며,

기계 부품의 도면제도 시 기하공차를 선택하고 도시하기 위한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실무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여기까지 본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